2017. 3. 23. 17:51ㆍ장비제어개발관한이야기
몇일전 Method-2 라는 로봇을 유튜브에서 보았습니다. 참, 멋있더라구요.
기반 기술을 만들고 더 나아가서 로봇까지 만드는 모습을 보니, 많은 노력이 있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게을러서 포스팅도 안하고 있는 제 자신을 돌아보게 합니다. 로봇제어도 장비제어도 한끗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부터 산업용 로봇 개발자라고 하고 다녀야 겠습니다. 뭐, 틀린 말도 아니니까요.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한 조명제어 입니다.
조명제어도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여러가지 의미가 있지만, 산업용 장비제어 측면에서 설명하려합니다.
장비제어에서 조명이란 무엇인가?
원하는 영상을 얻기위한 광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카메라가 있는곳에는 꼭 있습니다. 광원에 따라서 물체의 영상이 잘보일수도 어둡기도 할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물체에 특성이 맞게 적절한 광원이 있습니다. 장비제어를 통해 원하는 모듈을 원하는 장소에 놓으려면 눈이 필요한데 잘보이게 하는것이 조명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조명과 뜻이 같습니다. 머신비전에서는 특정 불량등을 부각시키는 용도로도 쓰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요약하자면 카메라를 사용해서 마이크로미터의 제품의 위치를 파악하고 픽업하고 플레이스 하고 검사하는 쓰이는 광원이라고 하면 설명이 될까 싶습니다.
<조명에따른 영상차이>
조명의 위치에 따른 분류
- 동축
정반사를 통해서 영상이 카메라에 전달됩니다.
- 사이드
측면에서 광원을 비춰서 영상을 카메라에 전달합니다. 주로 거친 표면같은 난반사가 일어나는 제품이 잘보입니다.
- 백
제품의 밑부분에 광원을 비추게 됩니다. 제품의 특성에 따라서 영상이 차이납니다.
조명컨트롤러
위와 같은 조명을 제어 하기위해 PC와 조명의 중간에 컨트롤러가 존재 합니다. 이 컨트롤러에 특성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이 모든것을 제어해야지 되겠습니다. 우리에게 존재 이유가 있듯이 조명도 필요성에 의해서 여러가지로 분류됩니다.
전문가까지는 아니지만, 동작방식 정도는 이해를 하고 있어야 제어가 가능합니다.
조명의 제어방식의 의한 분류
- IO제어
고속으로 조명의 상태를 바꾸기 위해 쓰입니다. 한조명을 0~256 조명값으로 변경하기위해서는 8개의 배선이 필요하게 됩니다.
- 시리얼통신/이더넷통신
고속으로 반응이 필요없는 경우, 즉 한번 조명을 바꾸면 계속 쓰는경우에 많이 쓰고 밑에서 설명되는 페이지 조명과 같이 많이 쓰입니다.
조명의 메모리 유무
- 페이지조명
저장되는 메모리가 있어서 비교적 느린 시리얼 통신으로 값을 저장후 고속으로 상태를 변경할수 있습니다.
조명의 광원 방식에 대한분류
- 스트로브
조명의 광량의 크기를 고정후 시간으로 조절합니다. 밝기가 최대밝기가 되는 시간을 기다릴 필요 없어 초고속 영상 취득에 쓰입니다.
장비제어에서 조명제어 윈도우 프로그래밍
다음에 계속하겠습니다. ^^*
'장비제어개발관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버퍼를 쉽게, 실수 없이 써보자 (0) | 2021.01.04 |
---|---|
[모션제어]1. 모션라이브러리란? (0) | 2018.03.19 |
업계통신표준 SECS/GEM! (0) | 2017.02.20 |
장비제어에서 Offline Mode 와 Online모드 (0) | 2017.02.07 |
장비제어에서 Log란? (0) | 2017.02.03 |